<src="photo.png">

라이젠 도입(?) 준비 (PC 구매 준비) [1/3] 본문

제품리뷰

라이젠 도입(?) 준비 (PC 구매 준비) [1/3]

samsonites89 2022. 1. 22. 01:52

[기존 PC]

2017년.

처음으로 조립 PC를 맞추어 봤다. 멋모르고 일단 시작으로 하게 된 거지만,

부붐 이것저것 사서 그냥 연결하니.. 대략 뭐가 된 거 같긴 했다.. ㅎ (초반에 부팅 몇 번 안돼서 쫄았더 건 안 비밀)

계기는 개발 관련 업무를 시작하면서 쓰잘대기 없이 '그래도 개발을 하는데 대략 PC 조립하는 것은 기본이 되어야 하지 않나?'로부터 시작했지만, 막상 조립하고 보니 내심 뿌듯한 부분도 있고. 무엇보다 아예 안 쓰는 장비는 또 아니어서 ㅎㅎ 잘 구해했다는 생각이 오히려 더 많이 들었다.

 

17년 PC를 만들 때 스펙은 대략 아래와 같다. (기억이 안 나는 것도 있고.. 뜯어보면 되겠지만 일단 귀찮아서 대략만! 나중에 새로운 PC를 조립할 때 더 세부적으로 기록/수정하기로 하겠다.)

당시 비용은 진짜 전혀 기억이 안 나지만.. 대략 다 합쳤을 때 150만 원 언저리가 되지 않았나 싶다.. (이건 모니터까지 포함) 그리고 그래픽 카드가 제일 비싸지 않았나 싶다.

부품 제조사/모델명 비고
CPU Intel i5-7600 (7세대) CPU @ 3.50GHz Quad Core(?)
RAM 삼성 8GB PC4-21300 (2400mhz) x 2  16GB
Motherboard ASUS B150A/M.2 정작 M.2는 활용 안함 ㅠ
Graphics Card MSI NVIDIA GeForce 1060 6GB 기존 3GBT 쓰다가 6GB 친구한테 중고로 구매
Disk Drive 삼성 SSD 650 EVO 250GB 윈도우용
SanDisk SSD 120GB ubuntu용
WD HDD 1TB  
Barracuda(?) HDD 2TB 추후 구매. ubuntu랑 1:1 partitioning 함.
쿨러 잘만 LED 120mm  이건 진짜 기억 안 난다.
Power Supply ?? ??
케이스 BRAVOTEC 디파이 B40 (블랙)  

Power Supply는 진짜 본체를 다시 뜯어보기 전까지는 몇 Watt인지 판별하기 어려울 것 같다 ㅠ 

다만 PC 부붐을 구매했을 때 아래와 같은 사이트를 참조해서 필요한 Watt을 계산했던 것 같다.

https://www.newegg.com/tools/power-supply-calculator/

 

지금 보니 케이스가 뚱뚱해서 공간 효율은 봤을 땐 그럭저럭 할 것 같지만 처음 구매했을 때 제일 마음에 드는 부분 중 하나였던 거 같다. 그래픽 카드를 집어넣을 때도 좀 많이 거지 같았지만.. ㅎㅎ

조금 청소하고 찍을걸 그랬나.. 일단 사직 투척!!

 

 

 

...

하지만 5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으니.. 새로운 PC를 장만할 때가 되지 않나 싶다.

물론 지금 PC로도 딱히 게임을 하거나 작업하는 부분에서는 전혀 문제없다 (PC에서 블로그 작성 중임)

하지만.

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으니.. 를 핑계 삼아 이번 기회 새롭게 PC를 맞춰보려고 한다.

 

일단 이건 예전부터 고민해왔던 바이지만.

7세대 Intel 칩은 진짜 오래되긴 했다. 그래서 한번 스펙업을 해야겠다고 마음을 예전부터 먹고 있었다.

다만.. 8세대 이상 Intel 칩을 쓰기 위해선 메인보드를 변경해야 하여 조금 더 고민을 해보게 된 것 같다.

 

결론적으로는 CPU를 어떤 것을 구매해도 메인보드도 교체를 해야 하니 이 추가 비용 때문에 결정하는데 더 시간이 걸리지 않았나 싶다. 괜한 고민이긴 했다. Intel도 벌써 12세대로 넘어왔는데.. ㅎ

 

추가 업데이트 사항

CPU는 그렇다고 치고.. 추가 업데이트가 필요한 (필요하다고 생각이 든) 부품은 아래와 같다.

 

  • 메모리: 요즘 16GB는 기본인 듯싶어서 이 기회에 32GB 이상으로 업그레이드하려고 한다.
  • 드라이브: 현재 SATA로만 SSD/HDD를 연결했는데 M2가 성능이 더 좋다 하니 nvme SSD를 한 번 사용하려고 한다.
  • 그래픽 카드: 가격 때문에 실은 제일 걱정되는 부분이지만.. AMD로 가면 nvidia 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수 있나? 혹시 AMD로 가게 되면 고민!

아, 그리고 기존 mini-atx에서 조금 더 작은 mini-itx로 더 작은 사이즈를 도전해보려고 한다.

 

[New PC]

작년에 M1 맥북프로를 구매하면서 Intel을 한 번 떠나본 적이 있는데,

이번에도 Intel 말고 AMD테크를 한 번 타볼까 했다. 아마 중급 모델로 알아보고 있어서 가격 측면에서는 그렇게 크게 앞서 나갈 것 같지는 않지만 요즘 대세가 AMD인 만큼 함 갈아타 보려고 한다.

 

일단은 AMD 쪽은 아는 정보가 없으니 간략하게 조사를 해보기로 했고, 고려 사항은 아래와 같았다.

  • 1차 조립 때도 그랬지만 현재 개발이나 게임하는 부분에서 i5 이상은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 → Ryzen 5가 적합
  • 새로 조립하는 만큼 최신 세대를 사용하기로 함 → 4세대
  • X 가 붙은 게 조금 더 빠르다고 하니 일단 G 보단 X → X

일단 위 사항을 정리해 봤을 때는 제일 적합한 CPU는 Ryzen 5 5600X라고 판단했다.

 

후후.. 일단.. CPU는 정해졌으니 간략하게 다나와에서 견적이라도 때려봐야겠다..

 

 

To be continued.

 

라이젠 도입(?) 준비 (PC 구매 후 난관) [2/3]

 

라이젠 도입(?) 준비 (PC 구매 후 난관) [2/3]

라이젠 도입(?) 준비 (PC 구매 준비) [1/2] 라이젠 도입(?) 준비 (PC 구매 준비) [1/2] [기존 PC] 2017년. 처음으로 조립 PC를 맞추어 봤다. 멋모르고 일단 시작으로 하게 된 거지만, 부붐 이것저것 사서 그

samsonites89.tistory.com

 

 

 

 

Comments